[울산 울주군] 언양알프스시장
언양알프스시장 - 언양알프스시장상인회 052-262-1545 - 주소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장터1길 12-1언양장은 1915년 개설된 장옥형의 중형시장으로 장날은 매월 2일, 7일이다. 청도, 밀양, 동래, 양산, 경주, 영천, 그리고 울산까지 7개의 고을에서 산물이 모이는 장이라고 해서 옛날에는 7 읍장이라고 불렀다. 언양장이 지금의 형태를 갖게 된 것은 40여 년 전으로 미나리밭을 매립하면서 기둥에 양철지붕을 얹은 것이 지금의 아케이드 역할을 했다. 한 개의 큰 장을 이루고 있던 언양장은 이때 상가건물에 들어선 매일종합시장, 남천강 건너 길 따라 형성된 언양공설시장, 아케이드가 설치된 언양시장 등으로 분리됐다. ※ 소개 정보 - 장서는날 : 2, 7, 12, 17, 22, 27일 - 영업시간 ..
더보기
[경기도 연천군] 연천장 (2, 7일)
연천장 (2, 7일) - 전화번호 031-839-2641 - 주소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차현로 139연천은 예로부터 콩과 소의 집산지로 이름이 나있다. 특히 콩은 ‘연천태’라 하여 전국적으로 유명하며, 전국에서 제1의 콩 생산지이기도 하다. 경기도 연천에 있는 재래시장 중 하나인 연천장은 매월 2, 7, 12, 17, 22, 27일에 장이 열린다. 다른 장에 비해 규모는 작지만 과일, 채소, 해산물 등의 식품과 농촌 일을 할 때 유용한 모자와 팔 토시, 식물, 화분 모종 등 다양한 종류의 물건들을 판매하고 있다. ※ 소개 정보 - 장서는날 : 2일 / 7일 / 12일 / 17일 / 22일 / 27일 - 영업시간 : 09:00~17:00 - 판매품목 : 의류 / 잡화류 / 콩(연천태) / 농산물 - 문..
더보기
[경기도 가평군] 청평 5일장 (2, 7일)
청평 5일장 (2, 7일) - 청평 5일장 상인회 031-580-2631 - 주소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시장중앙로 19매월 2일, 7일에 열린다. 서울 근교에 위치해 있어서 서울 장꾼들이 자주 왕래한다. 주요 거래 품목은 각종 곡식류와 채소, 잡화, 의류 등이다. 청평 5일 장은 1923년에 형성되어 지역 유통의 중심 역할을 했으나, 대형마트나 할인매장이 들어서면서 어려움을 겪어왔다. 그러나 최근에 리모델링하고 음수대나 주차장 등의 고객 편의시설을 갖췄다. ※ 소개 정보 - 규모 : * 영업장 면적 : 1,815㎡* 매장면적 : 1,200㎡* 점 포 수 : 5일시장-58개소, 상설시장-7개소 - 장서는날 : 매월 2, 7, 12, 17, 22, 27일 - 판매품목 : 채소, 의류, 잡곡, 잡화 등 -..
더보기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장 (2, 7일)
금마장 (2, 7일) - 전화번호 063-836-6731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금마면 고도길 58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에서 매월 2, 7, 12, 17, 22, 27일에 개설되는 금마장의 시작은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고 있다. 전해지는 이야기로는 조선시대 말부터 개설되었다고 전해졌다고 한다. 금마장이 성시를 이루던 시기는 해방 전후인 1940년대부터 1950년경까지이나, 현재까지도 옛것의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내며 관광객의 발걸음을 이끌어내고 있다. ※ 소개 정보 - 규모 : 대지 3,429㎡ / 건물 2,155㎡ / 29점포 - 장서는날 : 매월 2, 7, 12, 17, 22, 27일 - 영업시간 : 점포별 상이 - 쉬는날 : 점포별 상이 - 판매품목 : 채소류, 양념류(마늘, 생강, 고추),..
더보기
[강원도 인제군] 원통장 (2, 7일)
원통장 (2, 7일) - 전화번호 인제군관광정보센터 : 033-460-2170상인회 : 033-461-6200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북면 원통리 647-6원통장은 인제군에서 가장 큰 장으로 산채류, 채소류가 주로 많다. 산더덕, 산나물 (곰취, 산미나리, 참나물, 고사리 등)은 직접 아주머니들이 채취한 것들이라 믿고 구입할 수 있으며 특히 이곳은 양양과 가까워 해물도 많고 가을이면 감도 많이 나온다. 원통장은 시내 중심가에 위치하여 교통도 편리하고 터미널 바로 그곳부터가 장터다. 약재와 산삼, 송이버섯, 당귀 등 다른 지방의 것과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약효가 좋다고 한다. 여름에는 나물류, 가을에는 버섯류와 약재가 특히 많이 난다. ※ 소개 정보 - 장서는날 : 매월 2일 / 7일 / 1..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