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6일)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장 (1, 6일) 풍각장 (1, 6일) - 홈페이지 https://www.cheongdo.go.kr/ - 풍각재래시장 번영회 054-370-6704 - 주소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송서5길 10-11925년 시장 개시 이래 풍각 지역 상권의 중심지 역할을 해오면서 70∼80년대에 가장 번성하였다. 아침 일찍부터 오후 5시까지 풍각 홍고추, 수박 등 지역 특산물과 각종 일용잡화들이 거래되고 있으며, 94년 장옥을 새로이 정비하여 시골 사람들의 정보교환 장소로 애용되고 있다. 이 지역의 특산물은 풍각 토종 고추, 차산 수박, 청도 반시, 복숭아, 양파가 유명하며, 전통식품 가공공장에서 빛고을 된장, 조선 된장, 풍년 된장, 고추장, 메주, 간장, 마실 감식초, 청도 감식초, 생칼국수가 생산되고 있다. ※ 소개 정보 - 규.. 더보기
[경상북도 포항시] 기계장 (1, 6일) 기계장 (1, 6일) - 전화번호 054-243-2010 - 주소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계면 기계로 5751960년대 초반부터 지금의 시장부지에 장옥들이 들어서면서 인근 영덕군 강구에서까지 싱싱한 활어 및 선어를 내다 팔고 있으며, 해안을 인접하고 있기 때문에 수산물이 활발히 거래되며 기타 채소류 등이 유통되고 있다. 5일장이 열리는 1, 6, 11, 16, 21, 26일이면 면내에 생산되는 농산물, 청과물, 농기구, 가축 및 잡화의 도·소매가 이루어지며, 내연산 주위에 분포한 산송이 군락은 지역 특화상품으로 개발가능성이 있다. ※ 소개 정보 - 장서는날 : 1일 / 6일 / 11일 / 16일 / 21일 / 26일 - 영업시간 : 점포별로 상이 - 쉬는날 : 점포별로 상이 - 판매품목 : 사과 / .. 더보기
[전라남도 광양시] 광양5일장 (1, 6일) 광양5일장 (1, 6일) - 홈페이지 광양문화관광 https://gwangyang.go.kr/tour - 주소 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 백운로 3광양5일장은 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 목성리에 위치한 재래시장으로 매달 1일, 6일, 11일, 16일, 21일, 26일에 열리는 시장이다. 1964년에 처음 개장한 광양5일장은 50년의 세월을 자랑하는 시장이다. 광양의 맛있는닭구이, 신선한 농·수산물 등 다양한 식·물품들을 구매할 수 있는 장이다. 베이커리와 식당도 있음으로 든든한 한 끼와 디저트도 챙길 수 있으니 방문을 추천한다. ※ 소개 정보 - 장서는날 : 1일 / 6일 / 11일 / 16일 / 21일 / 26일 - 영업시간 : 점포 별로 상이함 - 쉬는날 : 점포 별로 상이함 - 개장일 : 1964년 -.. 더보기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시장 고성시장 - 전화번호 055-674-6931 - 주소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중앙로25번길 57경남 고성에 위치한 고성시장은 지역의 오랜 전통과 정겨움이 살아 숨 쉬는 상설시장으로 매월 1,6이 들어가는 날 장이 선다. 남해안에서 잡히는 싱싱한 해산물과 고성군 일원에서 생산되는 무공해 농산물이 다량으로 집하되어 판매되고 있다. 최근 신식건물 준공으로 깨끗한 장터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으며 넉넉한 시골 인심을 만날 수 있다. 특히 임금님께 진상하던 고성 쌀을 싼 가격에 구입할 수 있으며 남해안의 싱싱한 해산물이 많이 거래되고 있어서 서부 경남 상인들이 많이 모여드는 곳이다. 싱싱한 농산물과 수산물을 비롯해 각종 먹거리와 생활용품이 풍성하게 준비되어 있다. 시장 골목을 걷다 보면 정겨운 상인들의 인심과 활기찬.. 더보기
[강원도 홍천군] 홍천 중앙시장 (1,6일) 홍천 중앙시장 (1,6일) - 홈페이지 http://hc5959.com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홍천읍 홍천로8길 17홍천읍 진리에 옛부터 나루터가 있었는데 서울에서 어염을 비롯한 각종 생활용품이 배에 실려 북한강을 거슬러 홍천읍 진리 나룻터에 닿으면 도가들이 물건을 받고 이 지방 산물들이 배에 실려 서울로 올라갔다. 따라서 이 나루터를 중심으로 각종 물건들이 집중되면서 사람들이 몰려 진리 나루터 도로연변으로 홍천5일장이 형성되었다. 그후 도로교통이 발달하고 뱃길이 끊기면서 시장도 자연 홍천읍 중심부인 현위치로 옮겨졌다. 홍천의 모든 상거래는 이곳에서부터 시작되고 있으며 업태도 다양하다. 또한 유흥음식점, 대중음식업 등도 이 지역에 몰려 있어 소비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홍천 중앙시장 및 구시장과 그.. 더보기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반딧불시장(무주반딧불장터) (1, 6일) 무주반딧불시장(무주반딧불장터) (1, 6일) - 홈페이지 http://www.bandimarket.co.kr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무주읍 장터로 2무주반딧불시장은 매월 1일과 6일에 열리는 전통 오일장이자 상설전통시장이다. 전신인 무주시장은 1890년경 무주군 관아터인 현재 우체국 자리에 형성된 재래시장으로 1919년 당시에는 3·1만세운동의 역사적인 현장이었다. 한국전쟁 당시 장옥 전체가 불타버린 이후 무주교 주변에 자연스레 오일장이 형성되었고 1950년 무주읍 읍내리 현재의 장터로 자리가 옮겨졌다. 이곳은 경상도, 충청도, 전라도를 잇는 사통팔달 교통이 편리한 내륙의 중심지로서 청정 먹거리(산채, 약초, 머루, 사과, 호두, 더덕, 각종 나물) 어죽, 순대, 장터국밥, 국수 등 풍부한 먹거리.. 더보기
[경상북도 포항시] 청하공진시장 (1, 6일) 청하공진시장 (1, 6일) - 홈페이지 포항시 문화관광 https://www.pohang.go.kr/phtour - 주소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청하면 청하로200번길 6포항에서 영덕 방향으로 18㎞정도 들어오면 청하소재지를 연결하는 청하 삼거리가 있고 삼거리에서 1.5㎞정도 들어오면 청하공진시장이 있다. 1일과 6일에 장이 열리는 5일장이며 청하공진시장의 주요 품목은 농수산물, 생선, 어물, 잡곡, 가축, 채소, 과일, 잡화 등 다양한 시장이 이루어지고 있다. 1920년대 중반 이후 정기시장이 형성되면서 인근 오천지역의 주민들까지 이용하여 크게 운영되었으나 포항시내 지역에 큰 시장들이 들어서고 교통이 편리해지면서 계속 규모가 축소되어 명맥만 유지하여 오고 있었다. 1990년 초에 아파트가 많이 들어서고 .. 더보기
[전라북도 순창군] 순창시장 순창시장 - 홈페이지 http://tour.sunchang.go.kr/ - 순창전통시장 063-653-2339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순창읍 남계로 58전라북도 순창군 순창읍 남계리에 위치한 순창시장은 1923년에 장옥을 갖추며 형성되었고, 장날은 매월 1일과 6일로 유지되고 있다. 고추, 쌀, 콩 등의 농산물과 순창 명물인 전통 순대를 파는 순대 골목이 유명하다. 1960~70년대에는 전국 7대 우시장 중 하나로 하루 약 5천 명이 방문할 정도로 활기를 띠었으며, 특히 자수 제품이 유명해 전국에서 자수 상인들이 몰려왔다. 이후 농촌 인구 감소로 시장은 쇠퇴했지만, 일부 자수 기능인이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2002년부터 2010년까지 시장 현대화 사업을 통해 장옥, 어물전, 화장실 등 시설을 개..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