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 썸네일형 리스트형 [전라북도 남원시] 남원 목기사업협동조합 판매장 남원 목기사업협동조합 판매장 - 남원 목공예사업협동조합 063-626-9909, 063-625-1331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목공예길 27남원 목공예사업협동조합 판매장 수십 년간 식상과 목기를 만들어온 장인들이 현대화 시설의 공장을 건립하여 품질의 고급화를 선도하기 위해 넓은 부지에 개별공장을 마련하고 전시장 1동과 남원 옻칠 공예관을 유치하였다. 최고의 명품만을 고집하고, 끊임없는 제품개발을 게으르지 않는 장인들은 밀려오는 수입품에 맞서 견고하고 우수한 제품을 선보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또한 목선반갈이 연구회와 옻칠 공예관에서는 다양한 고객 취향과 선호도를 고려하여 새로운 제품을 계속해서 개발하고 있다. 남원 목기는 통일신라시대부터 지리산 기슭을 중심으로 목공예 기술의 맥을 이어온 정교하고 .. 더보기 [전라남도 무안군] 두리토방(몽평요) 두리토방(몽평요) - 두리토방 정철수 061-453-6788 - 주소 전라남도 무안군 몽탄면 신창길 4-3두리토방에서는 도자기를 감상할 수 있으며 도자기를 직접 만들어 볼 수 있는 초보자 도예교실도 열고 있다. 분청사기 대한 명인 제5-26호 몽향 정철수 선생과 제자이자 아들인 작정 정형용 선생의 작품이 전시되고 있으며 꿈여울 전통찻집을 함께 운영하고 있어 전통차를 즐길 수도 있다. ※ 소개 정보 - 영업시간 : 09:00 ~ 18:00※ 전화 문의 - 쉬는날 : 전화 문의 - 판매품목 : 분청자기, 생활자기 - 문의및안내 : 061-453-6788 - 주차시설 : 가능 - 유모차대여정보 : 불가 - 신용카드가능정보 : 가능◎ 주위 관광 정보⊙ 무안 도요지 - 홈페이지 https://tour.muan.. 더보기 [전라남도 순천시] 순천만 공예특산품관 순천만 공예특산품관 - 순천만 공예특산품관 061-749-3542 - 주소 전라남도 순천시 순천만길 513-25순천만 공예특산품관은 생산자와 판매자의 직거래 장터인 셈. 아울러 그 어렵다는 'China Free(중국산 제품 없음)'가 실제로 이루어지는 현장이다. 공예품부터 농산물, 빵과 쿠키 같은 가공품까지, 판매 중인 모든 것들이 순천에서 생산된 것이다. 작고 가벼운 공예품들이 인기가 많고 무농약으로 재배된 쌀은 흑두루미가 먹는 것과 동일하다는 사실 덕분에 높은 관심의 대상이다. ※ 소개 정보 - 영업시간 : 09:30 ~ 17:00 - 쉬는날 : 연중무휴 - 판매품목 : 갈대염색 손수건, 아파로헤니 등 - 문의및안내 : 061-749-3542 - 주차시설 : 가능 - 유모차대여정보 : 없음 - 신.. 더보기 [전라남도 진도군] 십일시장 (4, 10일) 십일시장 (4, 10일) - 전화번호 061-540-3605 - 주소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 석교리 245-1진도군 임회면 석교리의 자연마을인 십일시리에서 장이 선다. ‘십일시리’라는 지명 역시 10일장이 열린 데에서 비롯되었다. 일제 강점기까지는 10, 20, 30일에 장이 섰으나 이후 경제가 성장하면서 오일장의 형태로 바뀌어 4, 10, 14, 20, 24, 30일에 장이 열린다. 고추, 마늘, 채소류, 어물류, 잡화류를 판매하고 있다. ※ 소개 정보 - 장서는날 : 매월 4, 10, 14, 20, 24, 30일 또는 31일 (매월 마지막날) - 영업시간 : 점포별 상이 - 쉬는날 : 점포별 상이 - 판매품목 : 고추, 마늘, 채소류, 어물류, 잡화류 - 문의및안내 : 061-540-3605 - .. 더보기 [전라남도 장성군] 황룡시장 황룡시장 - 홈페이지 https://www.jangseong.go.kr/home/tour_new/ - 주소 전라남도 장성군 삼월길 5황룡시장은 원래 현재의 황룡면사무소의 부근의 월산동에 있었으나 1962년경에 구장터가 좁아지면서 현재의 황룡면 월평리 151-1번지와 장성읍 영천리 삼월동 1371번지 일대로 옮겼다. 1950년대 중반 당시 장성읍장이던 변진갑이 황룡장을 없애고 현재의 장성읍 사무소 건너편에 장을 개설하였으나, 장성읍장은 6개월 만에 폐쇄되었다. 당시의 황룡강 변영회장이던 고윤경이 논 60평을 기증하면서 황룡장은 더욱 활성화되었다. 그리고 장성읍 영천리 삼월동 1371번지에 있던 우시장이 부지가 좁아 1980년에 황룡면 월평리 151-6번지로 옮겼다. 황룡장은 장옥이 낡아 매년 몇 동씩 보수.. 더보기 [전라남도 함평군] 금영돗자리 금영돗자리 - 금영돗자리 061-323-0313 - 주소 전라남도 함평군 해보면 밀재로 1286-21금덕리에 위치한 금영돗자리는 왕골 4단·5단 돗자리, 침대용 3단, 자동차 시트커버, 베개 등 취급하는 제품 종류가 다양하다. 가닥마다 정성을 다해 꼼꼼히 제작되기 때문에 가정용이나 선물용으로 찾는 이가 꾸준히 있다. 게다가 소비자가 원하는 대로 주문 제작도 가능하여 원하는 제품을 구매할 수 있다. ※ 소개 정보 - 규모 : 작업장 (98평) - 영업시간 : 09:00~18:00 ※ 전화 문의 - 쉬는날 : 전화 문의 후 방문 - 판매품목 : 왕삼단, 왕사단, 오단, 사단, 침대삼단, 베게 - 문의및안내 : 061-323-0313 - 주차시설 : 가능 - 유모차대여정보 : 없음 - 신용카드가능정보 : .. 더보기 [전라남도 보성군] 조성시장 (3, 8일) 조성시장 (3, 8일) - 전화번호 061-857-9034 - 주소 전라남도 보성군 조성면 조성로 90-5조성 5일장은 조선조 말엽부터 지금의 조성역 앞 보건지소 자리에 조성원시장이라 하여 개설되었는데, 고흥군의 대서, 동강면 주민들까지 이용하기 때문에 비교적 큰 거래를 형성하였고 시장 분위기 또한 활기가 있었다. 특히 1930년대 철도의 개통으로 교통이 편리해짐에 따라 한때는 아침 일찍부터 오후 늦게도록 미곡이 거래될 정도로 곡물시장이 성하였다. 1980년대 소도읍 가꾸기 사업을 추진하면서 조성면 880-1번지 일대의 현시장으로 확장이전하였고 1993년 농어촌 정주 생활권 개발의 일환으로 시장바닥 포장, 수세식 화장실 건립 등 현대화 시설로 개선해 가고 있다. ※ 소개 정보 - 규모 : 점 포 수(.. 더보기 [전라남도 보성군] 보성장 / 녹차골 보성향토시장 (2, 7일) 보성장 / 녹차골 보성향토시장 (2, 7일) - 홈페이지 https://www.boseong.go.kr - 전화번호 061-852-3360 - 주소 전라남도 보성군 보성읍 현충로 42-1조선 말기부터 우시장으로 개설되어 정기시장으로 발전했으며, 송아지 시장으로 유명한 우시장으로 1970년대까지만 해도 경남 진주, 전북 남원까지 소를 몰아주는 소몰이꾼으로 북적였던 곳이다. 몰이꾼은 한 사람이 평균 4~5마리를 모는 것이 보통인데 실력 있는 몰이꾼은 열 마리까지도 소를 몰았었다. 거래 두수에 있어서는 70년대까지는 1일 평균이 100 두를 상회하였지만 지금은 전업 양축 농가의 증가와 교통의 발달로 인하여 거래 양상이 달라져 평균 40여 두 정도로 거래 규모가 위축되었다.상설시장과 함께 오일장으로 운영되고 있..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