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

[충청남도 공주시] 공주산성시장

대한민국 쇼핑 정보 2025. 8. 14. 14:10
반응형

공주산성시장


- 홈페이지
https://blog.naver.com/sansung8657
공주문화관광 https://www.gongju.go.kr

-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용당길 22

1937년에 개설된 공주산성시장은 백제의 왕궁터인 공산성 성곽 아래 있어 역사적, 문화적 전통성을 지닌 시장이다. 공주 유일의 장터로 2012년 문화광광형 시장으로 선정됐으며 특히 밤과 밤과자, 밤막걸리, 올방떡 등 공주의 특산물을 맛볼 수 있다. 시장 내에는 문화공원 분수대, 미니 식물원 등이 조성돼 있다. 상인들로 구성된 라디오 방송국 소리마루는 시장 활성화에 큰 몫을 해내고 있으며 가래떡 나눔 행사, 씨름대회 등의 축제로 일 년 내내 다채롭다. 인근에 공주박물관, 공산성, 무령왕릉 등 관광지가 많아 당일치기 코스로 좋다.

 


※ 소개 정보
- 영업시간 : 평일
▪ 동절기 - 08:00 ~ 19:00
▪ 하절기 - 08:00 ~ 20:00
- 판매품목 : 밤, 밤과자. 밤막걸리, 올방떡, 농축수산물 등
- 문의및안내 : 041-856-5427
- 주차시설 : 있음
▪ 기본 요금
30분 당 500원
10분 당 200원 추가
※ 주차 이용권 1장 당 500원(최대 1회 당 10장 사용 가능)
※ 주말 주차 무료 개방 (단, 장날이 주말 인 경우 요금 부과)






충남_공주_봄_공주산성시장02충남_공주_봄_공주산성시장03충남_공주_봄_공주산성시장04충남_공주_봄_공주산성시장05





◎ 주위 관광 정보

⊙ 명성불고기


-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웅진로 200 (산성동)

명성불고기는 TV 프로그램 〈백종원의 3대 천왕〉에 소개된 40년 전통 불고기집이다. 불고기는 부드러운 식감에 고소하고 짭짤하며 달달한 맛을 조화롭게 느낄 수 있다. 불고기 외에도 육회, 등심, 오징어 불고기 등을 맛볼 수 있다. 메뉴 주문 시 다양한 밑반찬이 준비되며 모든 음식을 포장이 가능하다. 매장 내부는 입식좌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좌석수가 많아 단체로도 이용이 가능하다.

- 상세 보기 : 바로가기

⊙ 제민천


- 홈페이지
http://www.gongju.go.kr

-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무령로 201 (교동)

도심 사이 살아있는 생태하천 제민천은 공주시 금학동에서 발원하여 금성동에서 금강으로 유입되고 도심지역을 가로지르고 있다. 현재는 생태하천 조성사업으로 산책로 및 실사타일 등 친환경적인 살아있는 생태하천으로 보호(복원)시키고 수변녹지 및 휴식공간을 확보하여 공주 시민들과 여행객들이 편안하게 방문할 수 있는 곳이 되었다. 또, 도심을 흐르는 하천으로 역사와 문화가 공존하고 자연과 사람이 어우러져 테마와 이야기를 간직한 문화공간으로 조성되어 주민들의 친수공간으로 제공하고 있다.

⊙ 박찬호기념관

-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산성찬호길 19 (산성동)

박찬호기념관은 한국 최초의 메이저리거 박찬호를 기념하고자 건립됐다. 기념관이 자리 잡은 곳은 과거 박찬호가 살았던 생가다. 기념관 내부에 들어서면 박찬호의 어린 시절과 메이저리그 활약상을 엿볼 수 있다. 이 밖에 전망대, 박찬호 벽화 골목길을 둘러볼 수 있다. 주변에는 곰나루국민관광단지, 국립공주박물관, 공산성 등 공주를 대표하는 관광지가 많다.

⊙ 로컬커피


- 홈페이지
https://www.instagram.com/local_coffee_/

-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용당길 55-7

로컬커피는 충청남도 공주시 교동에 있다. 1943년에 지어진 구옥을 멋스럽게 살린 외관과 예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대표 메뉴는 공주알밤라테이며, 이 외에 캐러멜 마키아토, 아인슈페너, 아포가토, 자몽 에이드 등 여러 가지 음료가 준비되어 있다. 수제로 만든 라즈베리 플라워 타르트, 티라미수 등 각종 디저트도 판다.

⊙ 북경탕수육


-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중동1길 5-18

북경탕수육은 충청남도 공주시 중동에 있다. 깔끔한 외관과 차분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대표 메뉴는 치즈 탕수육이다. 이 밖에 김치 치즈 탕수육, 고구마 치즈 탕수육, 고구마 김치 치즈 탕수육 등 여러 가지 탕수육을 선보이고 있다. 공주 IC에서 가깝고, 주변에 국립공주박물관과 공산성이 있어 연계 여행에 나서기 수월하다.

⊙ 쌍수정사적비


- 홈페이지
https://www.gongju.go.kr

-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 14-4

쌍수정사적비는 공주 공산성 진남루 서쪽에 위치한 비석이다. 조선 인조 2년(1624) 왕이 이괄의 난을 피해 공주에 머물렀던 사실을 기록한 비석으로 숙종 34년(1708)에 건립됐다. 이괄의 난과 인조의 피난에 대한 내력을 쓰고 공산성에 머무른 10일 동안의 행적, 그리고 공산성에 대한 내용을 적았다. 비신은 방형의 오석이며 너비와 두께는 거의 같은 크기이다. 이러한 가치를 인정받아 1976년 1월 8일에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공산성 쌍수정


- 홈페이지
https://www.heritage.go.kr

-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

공산성 쌍수정은 공주시 금성동의 공산성 서부 고지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다.
이 정자는 조선 영조 10년(1734)에 처음 세웠다. 인조가 이괄이 일으킨 반란(1624)을 피하여 공주로 잠시 피난 왔던 것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것이라고 한다. 이후 여러 차례 보수되어 오다 1970년에 전체적으로 해체하여 지금의 모습으로 복원하였다. 건물은 앞면 3칸, 옆면 2칸이며 지붕은 옆에서 볼 때 여덟 팔(八) 자 모양인 팔작지붕으로 꾸몄다. 쌍수정은 공산성 정문인 금서루와 쪽문인 진남루 사이에 있어 접근하기 용이한 편이며, 바로 밑에는 백제 추정왕궁지와 쌍수정 사적비가 있다.
공산성 쌍수정은 웅진로, 왕릉로 등을 통해 접근할 수 있으며 대중교통은 공주 시내버스 정류장을 거치는 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인근 관광지로는 공산성 외에 은개골역사공원, 산성시장 등의 관광지가 있다.

⊙ 구 공주읍사무소 (공주역사영상관)


- 홈페이지
공주시 문화관광 https://www.gongju.go.kr/
국가유산청 https://www.heritage.go.kr

-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우체국길 8 (반죽동)

구 공주읍사무소는 일제강점기였던 1923년에 지은 서양식 건물이다. 처음에는 충남금융조합연합회관으로 사용하면서 소속 조합의 자금 조절과 업무 지도, 조합원 교육 등을 운영하는 장소로 활용하였다. 1932년 충남도청이 공주에서 대전으로 이전하자 1934년부터는 공주읍사무소로 사용하였고, 1986년 공주읍이 공주시로 승격하면서 공주시 청사로 사용하였다. 당시 2층은 공주시장실, 1층은 사무실 등으로 활용하며, 1989년 봉황동 시청 건물이 지어지기 전까지 청사로 사용하였다. 이후 개인에게 매각되어 사설 미술학원으로 잠시 쓰였으나 2008년 공주시가 다시 매입하였고, 근대 건축물로서 가치를 인정받아 2009년 10월 12일에 구 공주읍사무소라는 이름으로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구 공주읍사무소는 공주 근현대 역사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근대식 건축물로 평가할 수 있다.

- 상세 보기 : 바로가기

⊙ 느리게 책방

- 홈페이지
https://www.instagram.com/slowly_bookshop/?hl=ko

-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우체국길 24 (중동) (중동)

공주시 중동에 위치한 느리게 책방은 독립서점이다. 독립서점이란 대규모 자본이나 큰 유통망에 의지하지 않고 서점 주인의 취향대로 꾸며진 작은 서점을 말한다. 이 서점의 주인은 느리게 책방을 ‘마음이 잠시 쉬었다 가는 공간’이라 소개한다. 그 말처럼 따뜻한 분위기로 인테리어 되어 있다.

⊙ 공주향교


- 홈페이지
https://www.heritage.go.kr/

-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향교1길 26 (교동)

공주향교는 처음 지은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원래 웅진동 송산리에 있었으나 인조 원년(1623)에 현재의 자리로 옮겨지었다고 전한다. 그 뒤 여러 차례 보수가 있었고, 1954년 문묘, 명륜당, 동재, 존경각 등을 보수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경내는 2단으로 땅이 나뉘어 있는데, 외삼문을 들어서면 강당인 명륜당이 있고 그 양쪽에 동재와 존경각이 있다. 뒤쪽 한층 높은 곳에 있는 내삼문을 들어서면 정면에 사당인 대성전이 있으며, 그 양쪽에 동무와 서무가 있다. 즉 교육 공간은 앞쪽에, 제사 공간은 뒤쪽에 구분하여 배치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노비·책 등을 지급받아 학생을 가르쳤으나, 갑오경장(1894) 이후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 기능만 남아있다. 공주향교는 지역유림들의 모성계에서 기금을 마련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소장도서로 89종 337 책이 있다. 1978년 이러한 가치를 인정받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5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